2025 EBS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2 정답 안내
이 책으로 실력이 얼마나 오를까?
지구과학2를 선택한 학생들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입니다. 교과서만으로는 수능 문제를 풀기 어렵고, 그렇다고 막연히 문제집만 풀자니 개념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EBS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2 교재는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다만 이 교재를 단순히 ‘한 번 풀고 넘어가는’ 문제집으로 착각하면 안 됩니다. 실제로 수능에서 직접 연계되는 비율은 예전만큼 높지 않지만, 출제자들이 이 교재의 자료와 개념 구조를 참고한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그래서 수능특강을 제대로 소화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는 문제 해석 속도에서 차이가 납니다. 특히 지구과학2는 계산 문제 비중이 높아서, 수능특강에 나온 공식 적용 연습을 충분히 해두지 않으면 실전에서 시간이 부족해집니다.
2025 EBS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2 정답
단원별 특징과 공부 포인트
고체 지구 파트는 판 구조론과 지진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단순 암기가 아니라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맨틀 대류와 판의 이동 속도를 연결 짓는 문제가 나올 때, 공식만 외워서는 변형 문제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수능특강의 탐구활동을 그냥 넘기지 말고, 그래프의 기울기가 의미하는 바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야 합니다.
대기와 해양 파트는 계산 문제가 집중된 구간입니다. 대기 안정도, 해수의 순환, 열수지 등은 매년 킬러 문항의 소재가 됩니다. 이 부분을 공부할 때는 교과서와 자습서를 함께 봐야 합니다. 교과서에는 결과만 제시된 실험들이 많은데, 자습서에는 그 과정과 원리가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특히 ‘왜 이 공식을 사용하는가’를 이해하지 못하면, 비슷해 보이는 다른 상황에서 어떤 공식을 써야 할지 헷갈립니다.
우주 파트는 HR도, 별의 진화, 외부 은하 등 스케일이 큰 주제를 다룹니다. 여기서 학생들이 자주 실수하는 부분은 단위 환산과 과학적 표기법입니다. 광년, 파섹, 천문단위를 오가며 계산해야 하는 문제에서 실수가 나오면 전체 문제를 틀리게 됩니다. 수능특강 문제를 풀 때는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보다 ‘이 값이 상식적으로 맞는가’를 먼저 판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답지와 해설을 아래에 함께 올려두었습니다. 틀린 문제 복습이나 풀이 과정을 정리할 때만 사용해주세요. 혹시 파일이 열리지 않는다면, 휴대폰에 PDF 보는 앱을 설치한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